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파평 윤씨 인터넷 족보 – 파평 윤씨 시조와 족보 가문의 자부심“?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covadoc.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covadoc.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BK OLD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05,955회 및 좋아요 1,91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파평 윤씨 인터넷 족보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파평 윤씨 시조와 족보 가문의 자부심 – 파평 윤씨 인터넷 족보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한국 족보와 성씨 – 파평 윤씨
나의 뿌리를 찾아서~ 조상님 큰절 받으세요
파평 윤씨 파워는 좋아요, 구독입니다. 보여주세요^^
파평 윤씨 인터넷 족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파평윤씨 족보찾기 – 블로그
파평윤씨 족보를 알고 싶습니다. 제가 윤씨인데 무슨 파이고 몇대손인지 궁금해서 올립니다. . 제가 족보가 궁금해서 찾아보니. 파평윤씨 소정공파.
Source: blog.naver.com
Date Published: 7/26/2021
View: 8858
족보열람 – 한국인의족보
한국인의족보, 족보, 수단, 성씨검색, 족보열람, 족보이야기. … [윤씨] 파평윤씨 판도공 정정공 이정공파보; 1585360672.jpg [이씨] 전주이씨이성군파보-병편 …
Source: xn--3e0bm80a8yhwdw5c209b.com
Date Published: 1/9/2022
View: 1126
윤씨(尹氏) 본관(本貫) 파평(坡平) – 한국족보출판사
족보,족보제작,인터넷족보,족보찾기,족보출판 및 해외동포 족보찾기,종친회,대종회,문중,종중,조상땅찾기,친척찾기 전문회사.문의:02.489.3333.
Source: www.findroot.co.kr
Date Published: 4/23/2022
View: 9394
파평윤씨 – 족보나라
제목, 파평윤씨2021-09-15 00:29. 작성자, biokr Level 10. 시조 윤신달(尹莘達)은 신라 경명왕 2년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삼한통합에 공을 세워 …
Source: korean.haus
Date Published: 12/27/2021
View: 6712
파평윤씨(대종회) – Daum 카페
파평윤씨(대종회). 여기는 파평윤씨대종회 카페입니다… 이곳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카페는 파평윤씨의 소식 공간으로써 역활을 하고자 2009년 10월 20일 …
Source: m.cafe.daum.net
Date Published: 12/3/2021
View: 6054
파평윤씨성보(坡平尹氏姓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소장처: 파평윤씨대종회 … 조선시대 문신 윤황이 1634년에 간행한 파평윤씨의 족보. … 파평윤씨 가문 내에서는 ‘파평윤씨 갑술보(甲戌譜)’로 불리고 있다.
Source: encykorea.aks.ac.kr
Date Published: 3/27/2021
View: 2051
한국인의족보
제목, 파평윤씨 인터넷 족보 1차 개통.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3-06-26, 조회수, 9439. 첨부파일. 한국족보편찬위원회는 지난 5년간 진행된 파평윤씨 대동보를 …
Source: newanyroot.codeinside.kr
Date Published: 7/26/2021
View: 859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파평 윤씨 인터넷 족보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파평 윤씨 시조와 족보 가문의 자부심.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파평 윤씨 인터넷 족보
- Author: BK OLD
- Views: 조회수 205,955회
- Likes: 좋아요 1,914개
- Date Published: 2020. 12. 1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Z1X3wXgZnzY
반월 시화 공장가이드(지식산업센터분양)
파평윤씨 족보찾기 좋은글 https://blog.naver.com/se6027/221555724672 파평윤씨 족보를 알고 싶습니다. 제가 윤씨인데 무슨 파이고 몇대손인지 궁금해서 올립니다. 제가 족보가 궁금해서 찾아보니
파평윤씨 소정공파 3방 영천부원군 三房鈴川府院君派 33대손임을 알수 있었습니다 파평윤씨인분들 궁금하시면 찾아보세요~~
한글과 한문을 병용합니다. 이유는 한문에는 깊은 뜻이 담겨있습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항렬표를 올려드릴테니 님도 직접 한번 대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파평 윤씨에 대한 정보 입니다. 파평 윤씨(坡平 尹氏)에 대(對)하여 1. 파평 윤씨(坡平 尹氏) 시조(始祖) : 윤신달(尹莘達) 2. 파평 윤씨(坡平 尹氏) 유래(由來) : 파평 윤씨(坡平 尹氏)의 시조(始祖) 윤신달(尹莘達)은 태조(太祖) 왕건(王建)을 도와 삼국(三國)을 통일(統一)하고 고려(高麗)를 건국(建國)하는데 공을 세운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서 태자(太子)를 교육(敎育)시키는 태사삼중대광에 봉해졌다. 그의 5세손(世孫)인 윤관(尹瓘, 1040~1111) 장군(將軍)은 고려(高麗) 문종(文宗)때에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고 1107년(고려 예종3년)에 별무반이라는 특수 부대를 편성한 뒤 여진정벌에 나서 적 5천명을 죽이고 130명을 생포하는 등 북진정책을 완수한공으로 영평(파평)백에 봉해져 후손(後孫)들이 본관(本貫)을 파평으로 하였다. 파평 윤씨(坡平 尹氏)의 시조(始祖) 윤신달(尹莘達)에 대(對)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설(傳說)이 있다. 경기도(京畿道) 파평(坡平)(파주)에 있는 파평산(坡平山) 기슭에 용연(龍淵)이라는 연못이 있었다. 어느 날이 용연에 난데없이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게 서리면서 천둥과 벼락이 쳤다. 마을 사람들은 놀라서 향불을 피우고 기도를 올린지 사흘째 되는 날, 윤온이라는 할머니가 연못 한 가운데 금으로 만든 궤짝이 떠 있는 것을 보고 금궤를 건져서 열어보니 한아이가 찬란한 금빛 광체 속에 누워있었다. 금궤 속에서 나온 아이의 어깨 위에는 붉은 사마귀가 돋아있고 양쪽 겨드랑이에는 81개의 잉어 비늘이 나 있었으며, 또 발에는 황홀한 빛을 내는 7개의 검은 점이 있었다. 윤온 할머니는 이 아이를 거두어서 길렀으며 할머니의 성을 따서 윤씨가 되었다. 3. 파평 윤씨(坡平 尹氏) 시조(始祖) 묘소(墓所) 위치(位置) – 경북 영일군 기계면 봉계동에 있다. 4. 파평 윤씨(坡平 尹氏) 계파(系派) 파평 윤씨(坡平 尹氏)는 크게 16개 계파(系派)로 나뉩니다. 함안파(咸安派), 남원파(南原派), 덕산군파(德山君派), 문정공파(文定公派), 신녕공파(新寧公派), 대언공파(代言公派), 봉록군파(奉祿君派), 판서공파(判書公派), 야성파(野城派), 전의공파(典儀公派), 소정공파(昭靖公派), 원평군파(原平君派), 소도공파(昭度公派), 판도공파(版圖公派), 소부공파(小府公派), 태위공파(太尉公派) 이중에서 판도공파(版圖公派)와 소정공파(昭靖公派)가 가장 큰 세력(勢力)을 이룹니다. 판도공파(版圖公派)는 판도공(版圖公) 윤승례(14世)를 파조(派祖)로 하는 계파(系派)로 이분이 고려(高麗) 말(末) 판도판서(判書公派) 벼슬을 하시어 이분의 후손(後孫)을 판도공파(版圖公派)라 합니다. 판도공 아들대에서 다시 분파하여 장방 제학공(提學公派)(윤규)파, 부윤공(윤보로)파, 정정공(윤번)파로 나뉘며 부윤공파는 다시 참판공(윤수미)파, 영상공(윤태산)파로 나뉩니다. 보기 좋게 계파(系派)를 정리(整理)하면, – 함안파(咸安派) – 남원파(南原派) – 덕산군파(德山君派) – 문정공파(文定公派) – 신녕공파(新寧公派) – 대언공파(代言公派) – 봉록군파(奉祿君派) – 판서공파(判書公派) – 야성파(野城派) – 전의공파(典儀公派) – 소정공파(昭靖公派) – 원평군파(原平君派) – 소도공파(昭度公派) – 판도공파(版圖公派) – 소부공파(小府公派) – 대위공파(大尉公派) 5. 파평 윤씨(坡平 尹氏) 세거지(世居地) –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 봉암리 – 경상북도 달성군 옥포면 신당동 –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상곡리 – 황해도 송화군 간촌리 – 경상북도 예천군 유천면 화지동 – 경상북도 신천군 문화면 화암리 –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대은리 – 경상북도 황주군 삼전면 용전리 – 경상북도 선산군 고아면 황산동 6. 파평 윤씨(坡平 尹氏) 인물 및 과거(科擧) 급제자(及第者)(조선시대) 윤강 윤관 윤돈 윤문거 윤봉구 윤봉조 윤사로 윤사분 윤선거 윤심형 윤여필 윤원형 윤인경 윤임 윤정 윤증 윤지선 윤지완 윤필상 윤현 윤호 윤황 윤관 : 고려 숙종때 동북 9성을 설치한 파평윤씨 장국 실제로 문관이었다. 윤봉길 : 일제 감정기떼 일본천왕에게 도시락폭탄을 던진 의사 젊은 나이에 사형되었음 윤숙의(이름은 모름) : 페비윤씨의 가장큰 라이벌 중중(맞나?)의 생모. 윤동주 : 별헤는 밤으로 이름을 널리 알렸던 시인. 조선시대 때 왕비를 많이 배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정왕후 [文定王后, 1501~1565] : 조선시대 중종의 계비(繼妃). 본관 파평(坡平). 성 윤(尹). 윤지임(尹之任)의 딸, 명종의 어머니. 1517년(중종 12) 왕비에 책봉되었으며, 1545년 명종이 즉위하자 모후(母后)로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하였다. 이때 남동생 윤원형(尹元衡)이 권력을 쥐게 되자, 대윤(大尹)이라고 하는 윤임(尹任) 일파를 몰아내는 을사사화를 일으켰다. 중 보우(普雨)를 우대하여 숭유배불(崇儒排佛)을 무시하고 불교중흥을 도모하였다. 정현왕후 [貞顯王后, 1462~1530] : 조선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성 윤씨(尹氏). 본관 파평(坡平). 호(壕)의 딸. 존호(尊號) 자순화혜(慈順和惠). 휘호(徽號) 소의흠숙(昭懿欽淑). 1473년(성종 4) 숙의(淑儀)에 봉해지고, 1479년 연산군(燕山君)의 생모(生母)인 왕비 윤씨가 폐출(廢出)되자 다음해 11월에 왕비로 책봉되었다. 후일 중종(中宗)이 된 진성대군(晉城大君)과 신숙공주(愼淑公主)를 낳았다. 능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선릉(宣陵)이다. 장경왕후 [章敬王后, 1491~1515] :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제1계비(繼妃). 성 윤(尹). 본관 파평(坡平). 시호 장경(章敬). 여필(汝弼)의 딸. 1506년(중종 1) 숙의(淑儀)가 되고 1507년 왕비로 책봉되었다. 1515년 세자(世子:仁宗)를 낳은 후 산후병(産後病)으로 죽었다. 휘호는 숙신명혜(淑愼明惠)이며, 후에 선소의숙(宣昭懿淑)으로 가상(加上)되었다. 능은 고양(高陽)에 있는 희릉(禧陵)이다. 정희왕후 [貞熹王后, 1418~1483] : 조선 세조(世祖)의 비(妃). 성 윤씨(尹氏). 본관 파평(坡平). 번(璠)의 딸. 1428년(세종 10) 가례(嘉禮)를 올려 낙랑부대부인(樂浪府大夫人)에 봉해지고, 1455년 세조가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 1457년 자성(慈聖)으로 존호(尊號)되었다. 1469년(예종 1) 흠인경덕선열명순휘의(欽仁景德宣烈明順徽懿), 1471년(성종 2) 원숙신혜신헌(元淑愼惠神憲)으로 각각 존호가 더해졌다. 덕종·예종 및 의숙공주(懿淑公主) 등 2남 1녀를 낳았다. 1468년 예종이 19세로 즉위하자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하게 되었는데, 이는 조선시대에 처음 있는 일이며, 성종 즉위 후에도 계속 7년 동안 섭정하였다. 능은 남양주(南楊州)의 광릉(光陵)이다. – 윤사윤(尹士○ 1409 己丑生) : 문과(文科) 세종18년(1436) 친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 윤희손(尹喜孫 1409 己丑生) : 문과(文科) 성종7년(1476)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 윤현(尹鉉 1514 甲戌生) : 문과(文科) 중종32년(1537)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 윤희성(尹希聖 1514 甲戌生) : 문과(文科) 중종35년(1540)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 윤담휴(尹覃休 1544 甲辰生) : 문과(文科) 선조2년(1569)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 윤계선(尹繼善 1557 丁巳生) : 문과(文科) 선조30년(1597)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 윤진(尹搢 1631 辛未生) : 문과(文科) 현종7년(1666) 별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 윤헌주(尹憲柱 1661 辛丑生) : 문과(文科) 숙종24년(1698) 춘당대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 윤심형(尹心衡 1698 戊寅生) : 문과(文科) 경종1년(1721)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 윤돈(尹㻻 1815 乙亥生) : 문과(文科) 헌종15년(1849)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등 모두 1424명의 과거 급제자가 있다. (문과 340명, 무과 86명, 사마시 934명, 역과 41명, 의과 11명, 음양과 2명, 율과 10명) 7. 파평 윤씨(坡平 尹氏) 윤봉길의사(尹奉吉義士)에 대(對)하여 아래는 본인직접 촬영하고 서술함. 尹奉吉義士(윤봉길의사) 영정 윤봉길의사 기념관 ☞ 桑海(상해) ・ 魯迅公園(노신공원)에 자리 잡고 있는 尹奉吉義士(윤봉길의사)의 遺蹟碑文(유적비문)에는 이렇게 아래와 같이 적혀 있었습니다. 尹奉吉生平事遺蹟簡介 韓國 忠淸南道人 号梅軒。 1932年4月29日, 日本侵略軍在此擧行淞祝沪戰役祝提捷阅兵大會, 尹奉吉喬裝入場, 投彈炸毙日本侵略沪派遣軍司令白川義则大將等, 炸伤多名重要官員。 尹當場被捕。 1932年12月19日, 尹奉吉在日本 金泽英勇就義。 윤봉길생평사유적간개 한국 충청남도에서 태어난 윤봉길의사 호는 매헌이고 1932년 4월 29일 일본침략군이 이 자리에서 거행한 상해사변 전승축 하식 때 폭탄을 투척하여 상해주둔일본 파견군사령관 시라카 와 대장 등을 폭사시키고 현장에서 체포되어 그해 12월 19일 일본 가네자와에서 25세로 장열하게 일생을 마쳤다. 8. 파평 윤씨(坡平 尹氏) 각파(各派) 항렬표(行列表) 파(派)\세수(世數)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함안백파 咸安伯派 검 儉 희 喜 석 錫 영 泳 림 林 용 容 재 在 종 鍾 원 源 상 相 섭 燮 기 基 남원백파 南原伯派 태 泰 병 秉 섭 燮 재 在 호 鎬 영 永 상 相 현 顯 배 培 종 鍾 원 源 수 秀 덕산군파 德山君派 여 汝 래 來 희 熙 규 奎 종 鍾 태 泰 상 相 렬 烈 재 在 두 斗 일 一 문정공파 文定公派 종 宗 병 秉 훈 勳 재 在 병 炳 규 奎 종 鍾 영 永 방 邦 여 汝 상 相 섭 燮 치 致 석 錫 원 源 식 植 지 志 곤 坤 종 鍾 수 洙 신령파 新寧派 희 熙 재 在 종 鍾 원 源 동 東 환 煥 규 圭 강 康 재 宰 중 重 규 揆 용 用 대언공파 代言公派 주 柱 영 榮 토 土 의 儀 수 氵 상 相 섭 燮 기 基 용 鎔 원 源 동 東 희 熙 진 鎭 자 滋 상 相 병 炳 중 重 석 錫 여 汝 식 植 섭 燮 재 載 종 鍾 전의공파 典儀公派 치 致 석 錫 호 浩 락 樂 섭 燮 재 在 진 鎭 영 永 식 植 양주파 楊州派 영 永 영 榮 익 翌 혁 赫 석 錫 순 淳 수 秀 열 烈 재 在 현 鉉 파(派)\세수(世數)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소정 공파 昭靖 公派 장방 상호군공파 長房 上護軍公派 진 鎭 자 滋 상 相 병 炳 중 重 석 錫 여 汝 식 植 섭 燮 재 載 종 鍾 재 宰 임 壬 규 揆 갑 甲 봉 鳳 병 丙 녕 寧 무 茂 범 範 강 康 2방한성공파 二房漢城公派 배천공파 白川公派 영 永 의 儀 수 氵 주 柱 희 熙 기 基 석 錫 수 洙 병 秉 섭 燮 구방파 九房派 자 滋 영 榮 혁 赫 현 鉉 한 漢 근 根 렬 烈 준 埈 수 銖 태 泰 화 禾 영 榮 옥 玉 종 鍾 승 承 동 東 렬 烈 기 基 호 鎬 택 澤 장령공파 掌令公派 ○규 圭 ○진 鎭 자 滋○ 상 相○ ○병 炳 ○중 重 석 錫○ 여 汝○ ○식 植 ○환 桓 ○섭 燮 달 達○ 종 鍾○ 3방 영천부원군 三房鈴川府院君派 식 植 현 顯 오 五 석 錫 원 源 주상 柱相 희 熙 재 在 용 鏞 영 泳 직 稙 원평군파 原平君派 상 相 병 炳 재 在 석 錫 영 泳 모 模 영 榮 규 圭 현 鉉 파(派)\세수(世數)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판도 공파 版圖 公派 장방 제학공파 長房 堤學公派 영 永 채 采 훈 勳 기 起 용 鏞 태 泰 상 相 희 熙 규 奎 종 鍾 락 洛 병 秉 이방 부윤공파 二房 府尹公派 규 圭 현 鉉 순 淳 모 模 희 熙 기 基 탁 鐸 호 浩 집 集 덕 德 구 球 석 錫 순 淳 모 模 용 用 구 九 병 炳 령 寧 성 成 기 起 강 康 3방 정정공파 三房 貞靖公派 이정공파 夷靖公派 토 土 의 儀 수 氵 주 柱 희 熙 기 基 백 伯 태 台 렬 烈 효 孝 성안공파 成安公派 배 培 선 善 영 永 수 秀 용 容 덕 德 녕 寧 성 成 범 範 강 康 양평공파 襄平公派 영 榮 교 敎 선 善 제 濟 채 采 병 炳 중 重 의 儀 순 淳 상 相 파(派)\세수(世數)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소 부 공 파 小 府公 派 장방 영윤공파 長房 令尹公派 대 大 효 孝 진 鎭 영 永 상 相 희 熙 재 在 용 鎔 영 永 표 杓 이방 판서공파 二房 判書公派 병 秉 헌 憲 재 在 현 鉉 태 泰 영 榮 병 炳 기 基 호 鎬 락 洛 동 東 환 煥 태위공파 太尉公派 성 成 태 泰 식 植 병 炳 기균 基均 종 鍾 영 永 동 東 묵 默 용 用 석 錫 화 禾 영 榮 옥 玉 종 鍾 승 承 동근 東根 열 烈 기배 基培 호 鎬 9. 파평 윤씨(坡平 尹氏) 전설(傳說) 파평 윤씨는 잉어를 안 먹는 이유. 잉어에 대한 전설은 윤신달의 5대손인 윤관의 일대기에도 또 나온다. 윤관이 함흥 선덕진 광포(廣浦)에서 전쟁 중에 거란군의 포위망을 뚫고 탈출하여 강가에 이르렀을 때 잉어떼의 도움으로 무사히 강을 건너 탈출하였다. 이번에는 장군의 뒤를 쫓던 적군이 뒤쫓아와 강가에 이르자 윤관 장군에게 다리를 만들어 주었던 잉어떼는 어느틈에 흩어져 버리고 없어졌다. 그래서 파평 윤씨는 잉어의 자손이며 또한 선조에게 도움을 준 은혜에 보답하는 뜻으로 잉어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파평 윤씨들은 잉어를 안 먹는데-‘ 일행 중 누군가가 하는 말이다. 시조 전설에 나오는 시조 몸의 ’81개의 비늘’ 때문인가 하였더니, 그보다 윤신달의 5대손 윤관(尹琯) 장군에 대한 전설 때문인 모양이다. – 고려시대 여진족을 정벌하여 국가에 대공을 세운 윤관 장군이 함흥 선덕진 광포(廣浦)에서 거란군과 전쟁 때 이야기이다. 싸움에 패하여 거란군의 포위망을 뚫고 탈출하여 강가에 이르렀을 때 배 한 척 없는 강을 무사히 건너 탈출을 하게 되었다 합니다. 잉어 떼의 도움이되었다. 라고 전해온다. 그래서 파평 윤씨 자손들은 자기들의 자랑스러운 선조에게 도움을 준 잉어의 은혜에 대한 보답의 차원으로 잉어를 먹지 않는다고 전해옵니다. 10. 파평 윤씨(坡平 尹氏) 인구수(人口數) 2000년 인구조사에서 221,477가구 총 713,947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인쇄
시조 윤신달(尹莘達)은 신라 경명왕 2년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삼한통합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태사에 이르렀다. 윤신달은 유금필, 김선평, 장길, 유차달 등 11인과 함께 고려 개국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그의 5세손인 윤 관(尹瓘,1040~1111) 장군은 고려 문종 때에 문과에 급제했다. 그는 1107년(고려 예종 3)에 별무반이라는 특수 부대를 편성한 뒤 여진정벌에 나서 적 5천 명을 죽이고 130명을 생포하는 등 북진정책을 완수한 공으로 영평(파평)백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본관을 파평으로 하였다. 파평은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의 지명이다.
시조는 고려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신달(莘達)이며, 현손 관(瓘)은 고려 중엽의 문무를 겸비한 명장으로 파평윤씨의 중시조이다. 아들 7형제를 두었으며 아랫대로 내려가면서 수십 파로 분파되었다. 파평윤씨 가운데서 주로 판도공파(版圖公派:承禮)와 소정공파(昭靖公派:坤)에서 대대로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고, 이 두 파의 후손이 가장 번창하여 파평윤씨의 약 80%를 차지한다.
시조 윤신달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경기도 파평(파주)에 있는 파평산 기슭에 용연(龍淵)이라는 연못이 있었다. 어느 날 이곳에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게 서리면서 천둥과 벼락이 쳤다. 마을 사람들은 놀라서 향불을 피우고 기도를 올린 지 사흘째 되는 날, 윤 온이라는 할머니가 연못 한 가운데 금궤가 떠 있는 것을 보고 건져서 열어보니 한 아이가 찬란한 금빛 광채 속에 누워 있었다. 금궤 속에서 나온 아이의 어깨 위에는 붉은 사마귀가 돋아 있고 양쪽 겨드랑이에는 81개의 잉어 비늘이 나 있었으며, 또 발에는 황홀한 빛을 내는 7개의 검은 점이 있었다. 윤 온 할머니는 이 아이를 거두어서 길렀으며 할머니의 성을 따서 윤씨가 되었다. 잉어에 대한 전설은 윤신달의 5대손인 윤 관의 일대기에도 또 나온다. 윤관이 함흥 선덕진 광포(廣浦)에서 전쟁 중에 거란군의 포위망을 뚫고 탈출하여 강가에 이르렀을 때 잉어떼가 다리를 만들어주어 무사히 강을 건너 탈출하였다. 이번에는 장군의 뒤를 쫓던 적군이 뒤쫓아 와 강가에 이르자 잉어떼는 어느 틈에 흩어져 버리고 없어졌다. 그래서 파평윤씨는 잉어의 자손이며 또한 선조에게 도움을 준 은혜에 보답하는 뜻으로 잉어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시조의 묘는 경북 영일군 기계면 봉계동에 있다.
윤신달의 5세손에는 여진족을 정벌하고 동북 9성을 쌓은 윤관이 있다. 그는 고려 선종 때 합문지후와 좌사낭중을 지내고, 여진정벌에 원수가 되어 17만 대군을 이끌고 출전, 함주와 영주 등 9지구에 성을 쌓아 침범하는 여진족을 평정하였다. 그 공으로 벼슬이 수태보 문하시중 판병부사 상주국 감수국사에 이르렀고, 7형제를 낳아 가세를 크게 일으켰다. 그래서 파평윤씨에서는 윤관을 중시조로 삼고 있다.
파평 윤씨 족보에 따르면 시조 윤신달부터 5세손 윤관까지 전부 단계로 내려오고 있다. 즉 윤관은 5대 독자이자 모든 파평 윤씨는 윤관의 후손이라는 말이 된다. 시조로부터 윤관까지 세계를 내려가면 윤신달-윤선지-윤금강-윤집형-윤관이 된다. 윤관 장군의 영정. 윤관 장군은 문신이지만 별무반을 편성하여 지금의 함경도와 간도 일대를 점령하고 동북 9성(함흥·길주 등)을 쌓았다.
파주라는 명칭도 파평 윤씨 가문 때문에 생긴 명칭이다. 세조는 계유정난 이후 점차 시국이 안정됨에 따라, 정변 때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세조비 파평 윤씨(정희왕후)의 고향인 원평도호부를 파평 윤씨에서 ‘파’자를 따와 파주목으로 승격시켰다. 그리고 할머니 원경왕후(여흥 민씨)의 고향인 여흥 또한 여주목으로 승격시켰다.
윤관의 7형제는 다시 아랫대로 내려가면서 수십 파로 분파되었다. 윤관의 장남 윤언인의 손자 윤위는 남원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한 공로로 남원백에 봉해졌다. 그 이후 후손들을 남원 윤씨라고 불렀다. 윤위의 손자 윤돈 또한 함안에서 난을 진압하여 함안백으로 봉해졌다. 그 이후 윤돈의 장남 윤희보의 후손들은 함안 윤씨로 분파되었고 윤돈의 나머지 세 아들의 후손들은 남원 윤씨로 세계를 이어갔다. 현재에 이르러 이 두 성씨는 유래가 명확하므로 각각 파평 윤씨 함안파와 남원파로 합본되었다. 연산군의 어머니로 유명한 제헌왕후(폐비 윤씨)가 함안 윤씨이다. 남원 윤씨로는 효종-숙종 연간 남인의 거두였던 백호 윤휴가 있다. 윤관의 5남 윤언식의 후손들은 윤언식의 증손자 윤은형이 덕산군에 봉해짐에 다라 덕산군파로 불려지고 있다.
이외 나머지 파평 윤씨의 분파인, 문정공파(文定公派) 신녕공파(新寧公派) 대언공파(代言公派) 봉록군파(奉祿君派) 판서공파(判書公派) 야성파(野城派) 전의공파(典儀公派) 소정공파(昭靖公派) 원평군파(原平君派) 소도공파(昭度公派) 판도공파(版圖公派) 소부공파(小府公派) 태위공파(太尉公派) 등은 6남 윤언이의 후손들이다. 이들 가운데서 후손인 판도공파(版圖公派)와 소정공파(昭靖公派)에서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윤관의 다른 아들은 출가하여 승려가 되거나 후손이 전해져 오지 않고 있다. 그리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고려시대에 문벌 귀족의 자제들이 불교에 귀의하여 승려가 되는 것은 그렇게 드문 일이 아니었다. 심지어 대각국사 의천은 왕족 출신이다. 여담으로 파평 윤씨의 대부분(90%)은 소정공파(昭靖公派)와 판도공파(版圖公派)로 다른 성씨 본관의 파에 비해 한쪽 파(派)에 많이 쏠려 있는 편이다. 후손이 적은 파도 있지만 일부 파의 대부분이 북한에 거주한 영향도 있다. 파평 윤씨는 조선시대 들어와 가문이 크게 번성하면서 명문세도가의 반열에 올랐다.(이미 고려시절부터 문벌귀족 15가문을 시작으로 권문세족 안에서도 재상지종 9가문의 명문가였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5명[1]의 왕비를 배출했으며, 수많은 과거급제자와 고관대작들이 나왔다. 그중 중종 대에서는 파평 윤씨에서 2명의 왕비(장경왕후와 문정왕후)가 나와 한 가문에서 대윤과 소윤으로 갈려 싸우는 비극을 연출하기도 했다.
판도공파의 파조는 윤승례인데, 그는 시조 윤신달의 13세손으로 윤척의 아들이다. 윤승례의 아들이 세조의 장인인 윤번이고, 윤번의 딸이 정희왕후(세조 비)이다. 판도판서공파는 윤승례의 아들 대에서 제학공파 부윤공파 정정공파로 갈라진다. 그중 정정공파에서 2명의 왕비가 나와 대윤과 소윤의 싸움이 빚어졌다.
윤승례의 아들 윤번은 세조의 장인이고, 윤번의 맏아들인 윤사분은 우의정, 둘째인 윤사균은 예조판서, 셋째인 윤사흔이 우의정이 되어 형제간에 정승을 지냈으며 7∼8대에 걸쳐 국구부원군과 공신부원군, 정승, 판서와 당상관들이 배출되어 조선시대 최고의 가문으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호사다마라는 말이 있듯이 윤사분과 윤사흔 두 집안에서 각각 중종의 왕비(장경왕후, 문정왕후)가 배출되어 왕실 및 왕위계승을 놓고, 대윤과 소윤으로 갈라져 싸우는 비극이 일어났다.
윤사균의 손자인 윤여필의 딸이 중종의 제1계비인 장경왕후이고, 그녀의 오빠가 윤임이다. 장경왕후는 세자(인종)를 낳고 곧바로 죽었다. 장경왕후의 뒤를 이어 윤사균의 동생인 윤사흔의 증손 윤지임의 딸이 제2계비로 책봉되어 문정왕후가 되었다. 먼 친척뻘인 고모와 질녀가 같은 왕의 왕비가 된 것이다.
문정왕후는 4명의 공주를 낳은 끝에 어렵사리 아들 경원대군을 낳았다. 그 뒤로 그녀는 남동생 윤원형을 끌어들여(소윤) 장경왕후의 오빠 윤임을 중심으로 한 일파(대윤)와 정치적 암투를 벌였다. 이를 대윤과 소윤의 싸움이라고 한다. 대윤과 소윤의 싸움은 경원대군이 왕위(명종)를 계승함으로써 소윤의 승리로 끝났으나, 소윤 역시 문정왕후가 죽자 몰락하였다. 결국 대윤과 소윤의 싸움은 파평윤씨 판도공파의 몰락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소정공파는 윤승례의 형 윤승순의 아들인 윤곤의 후손이다. 윤승순은 공민왕 때 요승인 신돈의 살해를 모의하다 발각되어 유배되었다가, 신돈이 주살된 후 풀려나 응양군 상호군이 되어 왜국의 침입을 막아냈다. 창왕 때는 권근과 함께 명나라에 사신으로 가, 명나라의 명에 의해 공양왕을 즉위케하였고, 판개성부사를 지냈다.
윤곤은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 태종)을 도와 좌명공신에 책록되고 이조판서를 지냈다. 그의 손자 윤호는 성종의 장인으로서 딸이 성종비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이다. 그 후 그는 돈령부영사를 거쳐 우의정에 이르렀다.
윤곤의 후손 중에는 성종 때 영의정을 지낸 윤필상이 있다. 그는 문종 때 추장문과에 급제했다. 이시애의 난에 도승지로 왕명을 신속하게 처리하여 우참찬에 특진하였다. 성종 때 영의정에 오르고 부원군에 봉해졌으나,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의 폐위를 막지 못하였다는 죄로 진도에 유배되고 사약을 받았다.
그의 증손인 윤현은 명종 때 호조판서를 지내고, 선조 때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돈령부영사에 이르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이밖에 소정공파의 윤사로는 세종대왕의 딸 정현옹주와 결혼하여 영천군에 봉해지고, 세조 즉위년 좌익공신에 책록되고 좌찬성, 중추부영사에 이르렀다. 문강공(윤언이)의 아들 3형제(인첨, 자고, 돈신)와 문정공(윤인첨)의 아들 3형제가 양대에 걸쳐 모두 대과 급제했다. 참판공(윤민신)은 다섯 아들이 나란히 급제하고 그 중 한 사람이 장원을 하여 세상 사람들은 참판공이 사는 마을을‘오자등과터(五子登科터)’라고 불렀다.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는 1,424명이 있다. 문과 340명, 무과 86명, 사마시 934명, 역과 41명, 의과 11명, 음양과 2명, 율과 10명이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윤(尹) 씨는 1020547 명으로 전체 성씨 순위는 8 위이며 파평 윤(尹) 씨는 770932 명으로 본관별 전체 순위는 9 위이고 성씨내 본관별 순위는 1 위이다.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파평 윤(尹) 씨는 전체 가구수가 221,477 가구로 본관의 인구는 713,947 명으로 본관별 전체 순위는 9 위이며, 본관별 성씨 내의 순위는 1 위로 나타났다.
여기는 파평윤씨대종회 카페입니다… 이곳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카페는 파평윤씨의 소식 공간으로써 역활을 하고자 2009년 10월 20일 공개하여 운영하고 있는 파평윤씨의 종친 친목 공간입니다…. 많은 격려의 응원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회원수 1,647
파평윤씨성보(坡平尹氏姓譜)
정확한 명칭은 ‘파평윤씨성보’이며, 분량은 원(元)·형(亨)·이(利)·정(貞) 4편(篇), 전주에서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파평윤씨 가문 내에서는 ‘파평윤씨 갑술보(甲戌譜)’로 불리고 있다.
크기는 반곽이 가로 21.2cm, 세로 28.8cm이며, 유계(有界), 주쌍행(註雙行), 선장(線裝), 저지(楮紙)이다. 현재 파평윤씨 대종회에 소장되어 있다.
체제는 서문(序文), 목록(目錄), 보도(譜圖: 元·亨·利·貞), 발문(跋文)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1539년(중종 34) 소세양(蘇世讓)이 지은 이른바 기해보(己亥譜)의 서문으로 본 족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목록은 각 편(원·형·이·정)의 장수(張數)와 수록 대수, 그리고 상대(上代)의 계통도를 간략하게 도식한 것이다. 발문은 모두 3종인데, 맨 처음은 1613년(광해군 5) 권반(權盼) 계축보(癸丑譜)의 발문이고, 그 다음은 1634년 윤황의 갑술보의 발문이며, 마지막은 1585년(선조 18) 윤면(尹勉)의 을유보(乙酉譜)의 발문이다.
이들 서발문에 따르면, 파평윤씨는 천순연간(天順年間:1457∼1464)에 이미 족보가 작성되었고, 가정(嘉靖) 초기인 1520년대에도 계수(繼修)된 바 있으나 모두 간행되지는 못했다.
이후 1539년 윤개(尹漑)가 주관하여 초간보인 기해보(己亥譜)를 간행하였고, 1585년에는 윤인함(尹仁涵)·윤면 등이 중심이 되어 중간보인 을유보(乙酉譜)를 간행하였다. 본 갑술보 역시 그 연장 선상에서 간행되었는데, 파평윤씨족보로서는 3간보에 해당한다.
이 갑술보는 ‘파평윤씨성보’라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철저히 본파(本派)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타성(他姓)이 전혀 수록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사위 당대에 그치고 있어 외손을 수록하는 이 시기 다른 족보와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술한대로 이 족보는 원편(元篇)·형편(亨篇)·이편(利篇)·정편(貞篇)의 4편체제를 중심으로 별록(別錄)과 추록(追錄)이 첨부된 구성을 보이고 있다.
주 01)에서 12세까지를 수록하였고, 형편은 16장 분량으로 13세에서 18까지를 수록하였다. 이편은 4편 중 가장 많은 83장 분량으로 19세에서 24세까지를 수록하였다. 정편은 10장 분량으로 25세에서 27세까지를 수록하였다. 원편은 3장(張) 분량으로 1세 시조 윤신달(尹莘達) 에서 12세까지를 수록하였고, 형편은 16장 분량으로 13세에서 18까지를 수록하였다. 이편은 4편 중 가장 많은 83장 분량으로 19세에서 24세까지를 수록하였다. 정편은 10장 분량으로 25세에서 27세까지를 수록하였다.
별록에는 세계(世系)가 이어지지 않는 20여 가계가 수록되어 있고, 추록에는 간행이 종료된 이후에 단자를 제출한 가계가 수록되어 있다.
보도는 6층 횡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매 장마다 천자문에 따라 자표가 매겨져 있다. 보도의 맨 하단에 해당 계파의 거주지가 군현명으로 표기되어 있다.
이를 열거하면 합천, 안음, 연일, 이산(尼山), 옥구, 부안, 김제, 목천, 양성, 현풍, 배천(白川), 삭녕, 고산, 청안, 서천(舒川), 온양, 여산, 광주(光州), 보녕, 문경, 용궁, 청주, 공주, 남평, 천안, 삼가, 문의, 전주, 은진, 황간, 덕산, 장단, 홍산(鴻山), 충주, 평산, 주덕(舟德), 양주, 고령, 남포(濫浦), 한산, 금화(金化), 익산, 창녕, 예산, 대흥, 홍주(洪州), 면천, 상주, 비안, 영해, 포천, 가평, 김해, 춘천, 곡성, 온성, 성천, 자산(慈山), 강동, 평양, 함종(咸從), 안주, 가산(嘉山), 함흥 등이다. “팔로(八路)에 산재하는 후손들을 두루 수록했다.”는 윤황의 표현대로 8도가 망라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족보는 전국에 산재하는 여러 계파를 두루 수렴한 장점은 있지만 상대적으로 인물의 주기는 매우 소략한 편이다. 대부분 이름만 표기되어 있고, 관직이 있으면 이름 아래에 관직을 표기한 정도이다. 과거 합격자의 경우 문과를 거쳐 참판을 지냈으면 문참판(文參判), 무과를 거쳐 현감을 지냈으면 무현감(武縣監)이라 표기했고, 생원·진사는 생원 또는 진사로 주기를 달았다.
자녀는 선남후녀의 방식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출계 사항도 명기되어 있다. 이는 이 시기 다른 족보에서도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서자녀와 첩자녀를 엄격하게 구별한 것은 매우 특징적인 점이라 하겠다.
결과적으로 이 족보는 17세기 초반에 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성보(姓譜)라는 명칭, 본파 중심의 수록, 선남후녀에 입각한 자녀 등록, 서자녀와 첩자녀의 엄격한 구별 등을 통해서 볼 때 그 이후에 간행된 족보류보다 유교적 종법질서가 강하게 반영되었다는 점에서 이 시기 족보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파평 윤씨 인터넷 족보
다음은 Bing에서 파평 윤씨 인터넷 족보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파평 윤씨 시조와 족보 가문의 자부심
- 한국 성씨
- 족보
- 파평윤씨
파평 #윤씨 #시조와 #족보 #가문의 #자부심
YouTube에서 파평 윤씨 인터넷 족보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파평 윤씨 시조와 족보 가문의 자부심 | 파평 윤씨 인터넷 족보,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