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프로젝트 룬 문제점 – 인터넷 식민지가 시작되다!! 구글 프로젝트 룬!“?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covadoc.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covadoc.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싱싱이의진실토크TV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0,411회 및 좋아요 380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프로젝트 룬 문제점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인터넷 식민지가 시작되다!! 구글 프로젝트 룬! – 프로젝트 룬 문제점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인터넷망의 독점화!!
블록체인-양자컴퓨터-빅데이터-프로젝트 룬은 연결되어 있다!
블록체인-양자컴퓨터-빅데이터는 하나다!! 3편
프로젝트 룬 문제점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구글의 프로젝트 룬 – 브런치
세상을 바꾸려면 크게 생각하라. | 구글은 오지에 열기구 같이 생긴 거대한 풍선을 띄워 무선인터넷을 공급하겠다는 ‘프로젝트 룬(Project Loon)’을 …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10/20/2022
View: 5531
Top 30 프로젝트 룬 문제점 31 Most Correct Answers
프로젝트 룬이 직면한 또 다른 문제는 풍선을 띄우는 과정이다. 처음 풍선을 날릴 때는 대규모의 인원이 필요했고, 대형 풍선을 날리는 것에 대한 안전 …
Source: 1111.com.vn
Date Published: 9/10/2022
View: 6647
룬 풍선인터넷 프로젝트 종료 이유는 규제와 투자 문제 – 클리앙
알파벳의 풍선인터넷 프로젝트 룬(Loon)을 올해 접게 된 이유 중에는 현실적인 규제 문제를 넘지 못 한 것도 있었다고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전(前) …
Source: www.clien.net
Date Published: 10/1/2022
View: 3195
구글 프로젝트 룬, “100일 이상 비행 가능한 수준에 도달” – ITWorld
또 이들 풍선들은 수송이나 비용 등의 이유로 가능한 한 오래 상공에 떠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화요일 구글 프로젝트 룬의 제조 부문 책임자 마헤 …
Source: www.itworld.co.kr
Date Published: 11/18/2022
View: 9618
알파벳, 룬 프로젝트 불씨 살렸다···풍선대신 레이저로 글로벌 …
하지만 수년간의 성공적 시험을 거쳤음에도 천정부지로 치솟는 비용 문제로 결국 올해 1월 중단됐다. 풍선을 이용한 룬프로젝트는 실패로 끝났지만 …
Source: www.tech42.co.kr
Date Published: 11/19/2021
View: 5283
구글, 풍선 띄워 인터넷 보급하는 ‘프로젝트 룬’ 중단 – 뉴시스
[서울=뉴시스] 양소리 기자 =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이 2013년 공식 출범한 ‘프로젝프 룬(Project Loon)’ 사업을 중단한다. 프로젝트 룬은 고도 20㎞ …Source: www.newsis.com
Date Published: 7/10/2022
View: 396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프로젝트 룬 문제점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인터넷 식민지가 시작되다!! 구글 프로젝트 룬!.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프로젝트 룬 문제점
- Author: 싱싱이의진실토크TV
- Views: 조회수 20,411회
- Likes: 좋아요 380개
- Date Published: 2017. 10. 1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wYnfKulRrtA
구글의 프로젝트 룬
구글은 오지에 열기구 같이 생긴 거대한 풍선을 띄워 무선인터넷을 공급하겠다는 ‘프로젝트 룬(Project Loon)’을 몇년전 부터 수행해 오고 있다. 4G 통신망이 구축되지 않은 제 3세계 국가에도 무선 통신망을 구축해 인터넷 인구를 늘리겠다는 의도다. 구글은 올해 말까지 100여개의 풍선을 성층권에 올린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구글이 테스트 중인 이 풍선은 지름 15미터이고 헬륨을 이용해 상공으로 올라가며 변하는 온도에도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게끔 되어 있다. 한번 올라간 풍선은 약 100일간 상공에서 머무를 수 있고, 풍선내의 전자기기 장치들은 태양광 패널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 풍선을 이용해서 어떻게 인터넷 통신이 이루어질까? 우선 해당 지역의 통신사가 풍선을 향해 4G LTE 신호를 쏴주어야 한다. 하나의 풍선은 주변의 수십개 풍선과 교신하며 일종의 메쉬 네트워크를 이루게 되며, 지상으로 신호를 중계한다. 다운로드 속도는 최대 10Mbps 까지 지원되며, 지상에서는 별도의 안테나 없이 단말기 만으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 셀타워에서 공급받는 4G LTE나 사용방법등 면에서 달라지는 점이 없다.
프로젝트 룬의 목적은 전세계 누구나 인터넷에 연결되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항상 와이파이에 연결된 삶을 사는 우리에게는 와닿지 않는 이야기지만, 전세계에서 43억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구글은 인터넷에 접근하지 못하는 세계 인구 60%에게 광범위한 경제·사회적 이익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한다. 이 43억 인구의 대부분은 통신회사들이 기지국이나 기타 기반설비를 설치할 경제성을 찾지 못한 농촌 지역에 살고 있다. 구글의 프로젝트 소개 동영상에 따르면 전세계가 인터넷에 연결된다면 학교에 가지 못하는 어린이가 원격으로 교육을 받고, 전세계의 의사들로부터 원격 진료를 받고, 작은 기업도 인터넷의 도움을 받아 2배의 성장을 이룰 수 있다.
나는 ted 강연을 통해서 Google X 의 Project Loon을 알게 되었다.
ted talks , The unexpected benefit of celebrating failure | Astro Teller
지구의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생각의 스케일이 놀랍다. 구글 X의 실험실에서는 프로젝트 룬 이외에도, 세상을 바꾸기 위한 끝없는 실험이 이뤄지고 있다고 한다. 그들은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실험해 보아야 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아이디어가 실패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서 실패한 아이디어에 인센티브를 준다. 실패를 해도 오히려 축하를 받는 분위기이기 때문에, 온갖 종류의 미친 아이디어들이 쏟아져 나온다. 그리고 그 중에서 정말로 세상을 바꿀만큼 멋진 아이디어가 나온다.
구글은 이제 UN이나 국가가 해결하지 못하는 일을 해내는 기업이 되었다. 단순히 눈 앞의 분기별 이익에만 매달리는 기업들은 앞으로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 구글이 세상을 바꾸고 있기 때문에.
Reference
유튜브, ted talks, https://www.youtube.com/watch?v=2t13Rq4oc7A
http://techneedle.com/archives/20576http://www.techm.kr/bbs/board.php?bo_table=article&wr_id=618
Top 30 프로젝트 룬 문제점 31 Most Correct Answers
인터넷 식민지가 시작되다!! 구글 프로젝트 룬!
인터넷 식민지가 시작되다!! 구글 프로젝트 룬!
구글 프로젝트 룬, “100일 이상 비행 가능한 수준에 도달” – ITWorld Korea
Article author: www.itworld.co.kr
Reviews from users: 7727 Ratings
Ratings Top rated: 3.3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구글 프로젝트 룬, “100일 이상 비행 가능한 수준에 도달” – ITWorld Korea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구글 프로젝트 룬, “100일 이상 비행 가능한 수준에 도달” – ITWorld Korea Updating 구글은 프로젝트 룬이 연구하는 풍선이 한 번에 3달 이상 비행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 프로젝트 룬은 약 6만 피트 상공에 떠 있는 풍선에서 4G LTE 셀룰러 데이터 신호를 쏘아 전세계 곳곳의 인터넷 소외 지역에 인터넷을 연결하는 실험이다.일정 규모를 유지해야 하는 특성 상, 구글은 지속적으로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유지하기 위해 수천 개의 풍선을 띄워야 한다. 또 이들 풍선들은 수송이나 비용 등의 이유로 가능한 한 오래 상공에 떠
Table of Contents:
구글 프로젝트 룬, “100일 이상 비행 가능한 수준에 도달” – ITWorld Korea
Read More
구글의 프로젝트 룬
Article author: brunch.co.kr
Reviews from users: 38748 Ratings
Ratings Top rated: 3.7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구글의 프로젝트 룬 세상을 바꾸려면 크게 생각하라. | 구글은 오지에 열기구 같이 생긴 거대한 풍선을 띄워 무선인터넷을 공급하겠다는 ‘프로젝트 룬(Project Loon)’을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구글의 프로젝트 룬 세상을 바꾸려면 크게 생각하라. | 구글은 오지에 열기구 같이 생긴 거대한 풍선을 띄워 무선인터넷을 공급하겠다는 ‘프로젝트 룬(Project Loon)’을 … 세상을 바꾸려면 크게 생각하라. | 구글은 오지에 열기구 같이 생긴 거대한 풍선을 띄워 무선인터넷을 공급하겠다는 ‘프로젝트 룬(Project Loon)’을 몇년전 부터 수행해 오고 있다. 4G 통신망이 구축되지 않은 제 3세계 국가에도 무선 통신망을 구축해 인터넷 인구를 늘리겠다는 의도다. 구글은 올해 말까지 100여개의 풍선을 성층권에 올린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구글이 테스트 중인
Table of Contents:
구글의 프로젝트 룬
Read More
룬 풍선인터넷 프로젝트 종료 이유는 규제와 투자 문제 : 클리앙
Article author: www.clien.net
Reviews from users: 48780 Ratings
Ratings Top rated: 4.5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룬 풍선인터넷 프로젝트 종료 이유는 규제와 투자 문제 : 클리앙 알파벳의 풍선인터넷 프로젝트 룬(Loon)을 올해 접게 된 이유 중에는 현실적인 규제 문제를 넘지 못 한 것도 있었다고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전(前)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룬 풍선인터넷 프로젝트 종료 이유는 규제와 투자 문제 : 클리앙 알파벳의 풍선인터넷 프로젝트 룬(Loon)을 올해 접게 된 이유 중에는 현실적인 규제 문제를 넘지 못 한 것도 있었다고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전(前) … 알파벳의 풍선인터넷 프로젝트 룬(Loon)을 올해 접게 된 이유 중에는 현실적인 규제 문제를 넘지 못 한 것도 있었다고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전(前) 직원들로부터 들은 내용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룬 CEO는 지난해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케냐가 새로운 기술을 받는 것에 개방적인 분위기였기 때문에 케냐를 풍선을 띄울 지역으로 선택했는데,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데 2년이 걸렸다고 말한 적이 있었습니다. 전 직원 말에 따르면, 각국 정부로부터 영공 진입 허가를 받고 풍선을 띄우는 것이 어려웠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케냐에 있었던 풍선이 남쪽의 모잠비크로 풍선이 이동해 모잠비크에서 인터넷을 쓸 수 있게 하는 등 경우에 따라서는 바람 방향을 따라 다른 나라로 넘어가는 식으로 여러 나라들이 풍선을 함께 쓸 수 있었지만 실제로는 어려웠다는 것입니다. 다른 사례로 남미에서 효율적이라고 생각되는 경로를 비행할 수 있게 베네수엘라에서 허가를 받으려고 했지만, 정부가 허가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또 어떤 나라들에서는 룬 풍선이 기관에서 쓰는 감시장비로 의심해서 사무실 등 작업 현장을 찾아와 조사하는 일도 있었다고 합니다. 이런 일들을 겪는 중에 소프트뱅크 투자금은 줄어들고 있었고 2020년에는 새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대부분 시간을 보냈다는 것입니다. 기사에서는 소프트뱅크와 추가 투자 협상에 대해서 아는 한 사람 말을 인용해 룬이 최소한 1억 달러는 받아야 할 것으로 봤다고 전했습니다. 결국 소프트뱅크로부터 추가 투자를 받지 못 하고 자금 흐름이 끊기면서 사업을 접게 됐다는 것입니다. □ 출처 – Why Google’s internet balloon project Loon failed | Business Insider (유료 구독자 전용 기사) – Slashdot (2차 출처)
Table of Contents:
룬 풍선인터넷 프로젝트 종료 이유는 규제와 투자 문제 : 클리앙
Read More
알파벳, 룬 프로젝트 불씨 살렸다···풍선대신 레이저로 글로벌 인터넷 재점화 – 테크42
Article author: www.tech42.co.kr
Reviews from users: 14602 Ratings
Ratings Top rated: 3.1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알파벳, 룬 프로젝트 불씨 살렸다···풍선대신 레이저로 글로벌 인터넷 재점화 – 테크42 하지만 수년간의 성공적 시험을 거쳤음에도 천정부지로 치솟는 비용 문제로 결국 올해 1월 중단됐다. 풍선을 이용한 룬프로젝트는 실패로 끝났지만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알파벳, 룬 프로젝트 불씨 살렸다···풍선대신 레이저로 글로벌 인터넷 재점화 – 테크42 하지만 수년간의 성공적 시험을 거쳤음에도 천정부지로 치솟는 비용 문제로 결국 올해 1월 중단됐다. 풍선을 이용한 룬프로젝트는 실패로 끝났지만 … 풍선도, 태양광 드론도, 인공위성도 아니다. 이젠 ‘레이저 빔’이다.
Table of Contents:
알파벳 룬 프로젝트 불씨 살렸다···풍선대신 레이저로 글로벌 인터넷 재점화
광섬유 케이블 설치 불가 지역에 레이저빔 인터넷으로
타라 통신 연결성의 비밀은 미러 매핑 그리고 보이지 않는 악수
리플루언서
최신 기사
많이 본 기사
알파벳, 룬 프로젝트 불씨 살렸다···풍선대신 레이저로 글로벌 인터넷 재점화 – 테크42
Read More
프로젝트 룬(project loon), 전세계 인터넷 연결을 위한 구글의 프로젝트
Article author: learnandcreate.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16933 Ratings
Ratings Top rated: 4.7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프로젝트 룬(project loon), 전세계 인터넷 연결을 위한 구글의 프로젝트 창작을 위한 방법들을 수집하고 메모하는 블로그입니다. -유니티 게임 개발, 유니티 엔진, c# 스크립팅, 게임개발정보 메모 -3D맥스, 3D마야,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프로젝트 룬(project loon), 전세계 인터넷 연결을 위한 구글의 프로젝트 창작을 위한 방법들을 수집하고 메모하는 블로그입니다. -유니티 게임 개발, 유니티 엔진, c# 스크립팅, 게임개발정보 메모 -3D맥스, 3D마야, … 프로젝트 룬(project loon), 전세계 인터넷 연결을 위한 구글의 프로젝트 2011년 google X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로 시작한 project loon은 성층권에 풍선을 띄워서 인터넷을 연결 및 확장하기위해 진행되..
Table of Contents:
Header Menu
Main Menu
프로젝트 룬(project loon) 전세계 인터넷 연결을 위한 구글의 프로젝트
프로젝트 룬(project loon) 전세계 인터넷 연결을 위한 구글의 프로젝트
‘과학기술’ 관련 글
Sidebar – Right
Sidebar – Footer 1
Sidebar – Footer 2
Sidebar – Footer 3
Copyright © 영감을 얻고 공부하고 만들기!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B FACTORY
티스토리툴바
프로젝트 룬(project loon), 전세계 인터넷 연결을 위한 구글의 프로젝트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1111.com.vn/ko/blog.
구글의 프로젝트 룬
구글은 오지에 열기구 같이 생긴 거대한 풍선을 띄워 무선인터넷을 공급하겠다는 ‘프로젝트 룬(Project Loon)’을 몇년전 부터 수행해 오고 있다. 4G 통신망이 구축되지 않은 제 3세계 국가에도 무선 통신망을 구축해 인터넷 인구를 늘리겠다는 의도다. 구글은 올해 말까지 100여개의 풍선을 성층권에 올린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구글이 테스트 중인 이 풍선은 지름 15미터이고 헬륨을 이용해 상공으로 올라가며 변하는 온도에도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게끔 되어 있다. 한번 올라간 풍선은 약 100일간 상공에서 머무를 수 있고, 풍선내의 전자기기 장치들은 태양광 패널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 풍선을 이용해서 어떻게 인터넷 통신이 이루어질까? 우선 해당 지역의 통신사가 풍선을 향해 4G LTE 신호를 쏴주어야 한다. 하나의 풍선은 주변의 수십개 풍선과 교신하며 일종의 메쉬 네트워크를 이루게 되며, 지상으로 신호를 중계한다. 다운로드 속도는 최대 10Mbps 까지 지원되며, 지상에서는 별도의 안테나 없이 단말기 만으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 셀타워에서 공급받는 4G LTE나 사용방법등 면에서 달라지는 점이 없다. 프로젝트 룬의 목적은 전세계 누구나 인터넷에 연결되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항상 와이파이에 연결된 삶을 사는 우리에게는 와닿지 않는 이야기지만, 전세계에서 43억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구글은 인터넷에 접근하지 못하는 세계 인구 60%에게 광범위한 경제·사회적 이익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한다. 이 43억 인구의 대부분은 통신회사들이 기지국이나 기타 기반설비를 설치할 경제성을 찾지 못한 농촌 지역에 살고 있다. 구글의 프로젝트 소개 동영상에 따르면 전세계가 인터넷에 연결된다면 학교에 가지 못하는 어린이가 원격으로 교육을 받고, 전세계의 의사들로부터 원격 진료를 받고, 작은 기업도 인터넷의 도움을 받아 2배의 성장을 이룰 수 있다. 나는 ted 강연을 통해서 Google X 의 Project Loon을 알게 되었다. ted talks , The unexpected benefit of celebrating failure | Astro Teller 지구의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생각의 스케일이 놀랍다. 구글 X의 실험실에서는 프로젝트 룬 이외에도, 세상을 바꾸기 위한 끝없는 실험이 이뤄지고 있다고 한다. 그들은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실험해 보아야 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아이디어가 실패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서 실패한 아이디어에 인센티브를 준다. 실패를 해도 오히려 축하를 받는 분위기이기 때문에, 온갖 종류의 미친 아이디어들이 쏟아져 나온다. 그리고 그 중에서 정말로 세상을 바꿀만큼 멋진 아이디어가 나온다. 구글은 이제 UN이나 국가가 해결하지 못하는 일을 해내는 기업이 되었다. 단순히 눈 앞의 분기별 이익에만 매달리는 기업들은 앞으로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 구글이 세상을 바꾸고 있기 때문에. Reference 유튜브, ted talks, https://www.youtube.com/watch?v=2t13Rq4oc7A http://techneedle.com/archives/20576http://www.techm.kr/bbs/board.php?bo_table=article&wr_id=618
룬 풍선인터넷 프로젝트 종료 이유는 규제와 투자 문제 : 클리앙
알파벳의 풍선인터넷 프로젝트 룬(Loon)을 올해 접게 된 이유 중에는 현실적인 규제 문제를 넘지 못 한 것도 있었다고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전(前) 직원들로부터 들은 내용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룬 CEO는 지난해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케냐가 새로운 기술을 받는 것에 개방적인 분위기였기 때문에 케냐를 풍선을 띄울 지역으로 선택했는데,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데 2년이 걸렸다고 말한 적이 있었습니다. 전 직원 말에 따르면, 각국 정부로부터 영공 진입 허가를 받고 풍선을 띄우는 것이 어려웠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케냐에 있었던 풍선이 남쪽의 모잠비크로 풍선이 이동해 모잠비크에서 인터넷을 쓸 수 있게 하는 등 경우에 따라서는 바람 방향을 따라 다른 나라로 넘어가는 식으로 여러 나라들이 풍선을 함께 쓸 수 있었지만 실제로는 어려웠다는 것입니다. 다른 사례로 남미에서 효율적이라고 생각되는 경로를 비행할 수 있게 베네수엘라에서 허가를 받으려고 했지만, 정부가 허가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또 어떤 나라들에서는 룬 풍선이 기관에서 쓰는 감시장비로 의심해서 사무실 등 작업 현장을 찾아와 조사하는 일도 있었다고 합니다. 이런 일들을 겪는 중에 소프트뱅크 투자금은 줄어들고 있었고 2020년에는 새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대부분 시간을 보냈다는 것입니다. 기사에서는 소프트뱅크와 추가 투자 협상에 대해서 아는 한 사람 말을 인용해 룬이 최소한 1억 달러는 받아야 할 것으로 봤다고 전했습니다. 결국 소프트뱅크로부터 추가 투자를 받지 못 하고 자금 흐름이 끊기면서 사업을 접게 됐다는 것입니다. □ 출처 – Why Google’s internet balloon project Loon failed | Business Insider (유료 구독자 전용 기사) – Slashdot (2차 출처)
알파벳, 룬 프로젝트 불씨 살렸다···풍선대신 레이저로 글로벌 인터넷 재점화
풍선도, 태양광 드론도, 인공위성도 아니다. 이젠 ‘레이저 빔’이다. 알파벳 자회사 ‘X’가 ‘글로벌 인터넷 구축’의 꿈에 다시 불을 댕겼다. 아프리카에서 레이저 빔을 이용한 광대역 인터넷통신 프로젝트인 ‘타라 프로젝트(Project Tarra)’ 시험 서비스에 성공하면서다. ‘X’는 최근 레이저 빔을 사용해 콩고강 사이의 두 도시에 초고속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시험 제공하는 데 성공했다고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풍선방식 ‘룬 프로젝트(Project Loon)’를 포기한다고 발표한 지 8개월 만이다. ▲알파벳 자회사 ‘X’의 ‘타라 프로젝트’ 팀이 아프리카 콩고강 양쪽 도시를 연결하는 레이저빔 방식 광대역 인터넷 통신망 서비스 제공에 성공했다. (사진=X) 폐기된 룬 프로젝트는 원래 모회사인 알파벳에 의해 자체 프로젝트로 분사되기 전 구글에 의해 진행돼 왔다. 룬은 성층권에 띄운 풍선들 간에 레이저를 쏘아 지구상의 사막과 밀림 등 벽오지 지역까지 인터넷으로 연결하기 위해 시작됐다. 하지만 수년간의 성공적 시험을 거쳤음에도 천정부지로 치솟는 비용 문제로 결국 올해 1월 중단됐다. 풍선을 이용한 룬프로젝트는 실패로 끝났지만 연구팀은 룬에 사용하려던 레이저 장비들을 살려내기로 했다. 광섬유 케이블 설치 불가 지역에 레이저빔 인터넷으로 알파벳의 문샷 랩 ‘X’는 이를 시험하기 위해 타라 프로젝트(Project Tarra)를 시작했다. ‘자유 우주 광학 통신(FSOC)’으로 불리는 룬프로젝트용 시스템에서 레이저 빔은 명확한 시야를 확보한 두 지점 간에 20Gbps(1Gbps=초당 10억 비트 전송) 이상의 광대역 링크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타라의 무선 광통신 링크는 자연히 높은 곳에 배치된다. 타라 링크를 서로 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타라의 단말기는 레이저빔 통신 링크를 만들기 위해 서로를 검색하고, 상대방 빛의 빔을 감지하고, 악수하듯이 이를 잠궈서 고대역폭 통신연결을 한다. 이 레이저빔 링크 방식은 복잡한 지하 광섬유 케이블 망 구축이 어렵거나, 지상기지국이나 인공위성 인터넷이 끊기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지역을 연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타라 프로젝트는 레이저빔을 이용, 강으로 가로막힌 4.8km 거리의 두 도시에 20Gbps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했다. (사진=X) 사실 타라 팀은 이미 몇 년 전부터 케냐는 물론 인도에 레이저빔 링크를 설치해 가능성을 테스트해 왔다. 마침내 16일 무선 레이저 광 링크로 콩고강을 사이에 둔 브라자빌 시와 킨샤사 시를 20Gbps 인터넷 서비스 통신으로 연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힐 수 있게 됐다. X의 타라 연구팀이 콩고강 지역을 시험 대상지로 선정한 가장 큰 이유는 깊고 빠르게 흐르는 강으로 인해 생기는 장애물이 있다는 점이었다. 두 도시 간 거리는 4.8km에 불과하지만 인터넷용 광섬유케이블을 가설하려면 콩고 강을 400km 이상 우회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현재 브라자빌-킨샤사의 인터넷 연결 비용은 일반 도시에 비해 5배나 비싸다. ▲수신기에는 전송기의 빛을 감지하고 통신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거울을 자동 조정하는 센서(오른쪽)가 있다. (사진=X) 배리스 어크멘 타라 프로젝트 책임자(엔지니어링 이사)는 “FSOC를 설치한 후 20일 만에 99.9%의 가용성으로 거의 700테라바이트(700TB, 1TB=1조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했다. 현지 통신 파트너인 에코넷(Econet)과 그 자회사가 사용하는 광섬유 연결을 증강시켰다”고 16일 자신이 쓴 블로그에서 밝혔다. 타라 팀은 “이 지역에 이미 인터넷이 개통돼 있어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지 않고 기존의 광케이블과 이 레이저 시스템 간 성능 비교 및 데이터 전송 전환까지 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최종 사용자들이 언제 그들의 통신이 광섬유 케이블 대신 FSOC로 바뀌어 사용했는지 몰랐으며 최종적으로 이것이 구별되지 않는 경험 제공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어크멘 이사는 “타라의 링크가 제공한 700TB의 데이터는 FIFA 월드컵 경기를 HD TV 화질로 27만 번의 시청한 것과 맞먹는 수치다···우리는 미래에 모든 종류의 날씨와 조건에서 완벽한 신뢰성을 기대하지는 않지만, 타라의 링크는 유사한 성능을 계속 제공할 것이며 격오지에 살고 있는 1700만 명의 사람들에게 더 빠르고 저렴한 연결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타라 통신 연결성의 비밀은 미러, 매핑, 그리고 보이지 않는 악수 오랫동안 무선 광통신(WOC)은 안개나 연무 또는 광신호 앞으로 날아가는 새 같은 방해물로 인한 신호 신뢰성 저하 때문에 실행 가능한 옵션으로 고려되지 않아 왔다. X는 공식 블로그에서 지난 몇 년 간 세 가지 방법으로 이러한 과제를 극복해 왔다고 밝히고 있다. ▲X는 룬 프로젝트에 사용된 레이저 기술을 타라 프로젝트에 적용해 아프리카 콩고에서의 시범 프로젝트를 성공시켰다. (사진=X) ▲타라 프로젝트 팀은 광섬유케이블에서 소외된 전세계 1700만 명의 격오지 사람들이 이 레이저빔 방식 광대역 인터넷 통신망 서비스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레이저빔 통신 서비스 컨셉. (사진=X) 첫째는 목표물 정밀 빔 조준(포인팅) 및 추적 능력이다. 타라 팀은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젓가락 폭에 불과한 레이저빔을 10km 떨어진 곳에서 폭 5cm의 목표물에 정확히 맞출 수 있을 정도의 강한 신호와 정확도로 연결했다. 지난 몇 년 동안 타라 프로젝트팀은 수신기가 송신기에서 나오는 빛을 감지해 잠글 수 있도록 했고 빔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거울을 자동으로 조정토록 설계했다. 이를 위해 대기 감지, 미러 제어 및 동작 감지 기능을 개선했다. 타라 프로젝트 팀은 이 시스템이 +/-5도 원뿔 범위 안에서 스스로 조정되며, 어떤 이유로든 고장이 날 경우 기술자를 내보내기 전에 원격 제어로 연결부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고 말한다. 둘째는 환경 속 변화(기후 동물 및 다른 장애물 등)에 대한 기기 원상 회복력이다. 물리적인 세계에서의 험난한 기술 운영 현실은 외부 환경 변화에 자동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인 방법을 찾도록 만들었다. 실제로 타라 팀은 인도에 타라 프로젝트 링크 송수신 단말기를 설치했을 때 원숭이들이 이를 밀치는 경우와 같은 상황을 겪기도 했다. 또한 전송되는 레이저 전력의 양이나 비트를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자동 조정케 함으로써 링크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러한 기술들이 더 나은 레이저빔 조준 및 추적 기능과 결합됐다. 타라 팀에 따르면 레이저빔이 안개, 가랑비, 또는 새(또는 호기심 많은 원숭이)의 영향을 받았을 때 서비스 중단이 되는 상황은 볼 수 없었다. 셋째는 네트워크 계획 도구를 개발해 타라 통신 링크를 적용하는 점이다. ▲타라 프로젝트가 적성한 전세계 무선 광대역 통신(WOC)의 가용성 비율을 보여주는 지도. (사진=X) 타라의 레이저빔 링크 구축을 위한 이상적인 날씨 조건을 갖춘 많은 장소들이 세계 곳곳에 있다. 날씨와 같은 요소를 기반으로 WOC 가용성을 추정하는 네트워크 계획 도구를 개발해 타라 링크를 최적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게 했다. 아래 지도는 전체적으로 WOC 성능에 대한 가시성 조건을 보여준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연간 99% 이상의 가용성을 기대할 수 있는 유망한 지역을 나타낸다. 타라 프로젝트 팀은 이같은 추적 정확도 향상, 자동화된 환경 대응 및 계획 도구 개선으로 타라 링크가 광섬유케이블을 가설하기 힘든 장소에 안정적인 고속 대역폭을 제공하고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는 지역을 연결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번 시범 사업 성공으로 ‘X’는 원격 지역을 연결하고 인터넷에 보다 안정적이고, 이상적으로, 보다 저렴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툴이 적어도 하나 더 있음을 증명했다. X의 새로운 문샷 프로젝트인 ‘타라 프로젝트’의 성과를 기대해 본다. 스타링크와의 선의의 경쟁과 함께.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프로젝트 룬 문제점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룬 풍선인터넷 프로젝트 종료 이유는 규제와 투자 문제 : 클리앙
알파벳의 풍선인터넷 프로젝트 룬(Loon)을 올해 접게 된 이유 중에는 현실적인 규제 문제를 넘지 못 한 것도 있었다고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전(前) 직원들로부터 들은 내용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룬 CEO는 지난해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케냐가 새로운 기술을 받는 것에 개방적인 분위기였기 때문에 케냐를 풍선을 띄울 지역으로 선택했는데,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데 2년이 걸렸다고 말한 적이 있었습니다.
전 직원 말에 따르면, 각국 정부로부터 영공 진입 허가를 받고 풍선을 띄우는 것이 어려웠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케냐에 있었던 풍선이 남쪽의 모잠비크로 풍선이 이동해 모잠비크에서 인터넷을 쓸 수 있게 하는 등 경우에 따라서는 바람 방향을 따라 다른 나라로 넘어가는 식으로 여러 나라들이 풍선을 함께 쓸 수 있었지만 실제로는 어려웠다는 것입니다.
다른 사례로 남미에서 효율적이라고 생각되는 경로를 비행할 수 있게 베네수엘라에서 허가를 받으려고 했지만, 정부가 허가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또 어떤 나라들에서는 룬 풍선이 기관에서 쓰는 감시장비로 의심해서 사무실 등 작업 현장을 찾아와 조사하는 일도 있었다고 합니다. 이런 일들을 겪는 중에 소프트뱅크 투자금은 줄어들고 있었고 2020년에는 새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대부분 시간을 보냈다는 것입니다.
기사에서는 소프트뱅크와 추가 투자 협상에 대해서 아는 한 사람 말을 인용해 룬이 최소한 1억 달러는 받아야 할 것으로 봤다고 전했습니다. 결국 소프트뱅크로부터 추가 투자를 받지 못 하고 자금 흐름이 끊기면서 사업을 접게 됐다는 것입니다.
□ 출처
– Why Google’s internet balloon project Loon failed | Business Insider (유료 구독자 전용 기사)
– Slashdot (2차 출처)
구글 프로젝트 룬, “100일 이상 비행 가능한 수준에 도달”
Offcanvas
Some text as placeholder. In real life you can have the elements you have chosen. Like, text, images, lists, etc.
알파벳, 룬 프로젝트 불씨 살렸다···풍선대신 레이저로 글로벌 인터넷 재점화
풍선도, 태양광 드론도, 인공위성도 아니다. 이젠 ‘레이저 빔’이다.
알파벳 자회사 ‘X’가 ‘글로벌 인터넷 구축’의 꿈에 다시 불을 댕겼다.
아프리카에서 레이저 빔을 이용한 광대역 인터넷통신 프로젝트인 ‘타라 프로젝트(Project Tarra)’ 시험 서비스에 성공하면서다.
‘X’는 최근 레이저 빔을 사용해 콩고강 사이의 두 도시에 초고속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시험 제공하는 데 성공했다고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풍선방식 ‘룬 프로젝트(Project Loon)’를 포기한다고 발표한 지 8개월 만이다.
▲알파벳 자회사 ‘X’의 ‘타라 프로젝트’ 팀이 아프리카 콩고강 양쪽 도시를 연결하는 레이저빔 방식 광대역 인터넷 통신망 서비스 제공에 성공했다. (사진=X)
폐기된 룬 프로젝트는 원래 모회사인 알파벳에 의해 자체 프로젝트로 분사되기 전 구글에 의해 진행돼 왔다. 룬은 성층권에 띄운 풍선들 간에 레이저를 쏘아 지구상의 사막과 밀림 등 벽오지 지역까지 인터넷으로 연결하기 위해 시작됐다. 하지만 수년간의 성공적 시험을 거쳤음에도 천정부지로 치솟는 비용 문제로 결국 올해 1월 중단됐다.
풍선을 이용한 룬프로젝트는 실패로 끝났지만 연구팀은 룬에 사용하려던 레이저 장비들을 살려내기로 했다.
광섬유 케이블 설치 불가 지역에 레이저빔 인터넷으로
알파벳의 문샷 랩 ‘X’는 이를 시험하기 위해 타라 프로젝트(Project Tarra)를 시작했다.
‘자유 우주 광학 통신(FSOC)’으로 불리는 룬프로젝트용 시스템에서 레이저 빔은 명확한 시야를 확보한 두 지점 간에 20Gbps(1Gbps=초당 10억 비트 전송) 이상의 광대역 링크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타라의 무선 광통신 링크는 자연히 높은 곳에 배치된다. 타라 링크를 서로 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타라의 단말기는 레이저빔 통신 링크를 만들기 위해 서로를 검색하고, 상대방 빛의 빔을 감지하고, 악수하듯이 이를 잠궈서 고대역폭 통신연결을 한다.
이 레이저빔 링크 방식은 복잡한 지하 광섬유 케이블 망 구축이 어렵거나, 지상기지국이나 인공위성 인터넷이 끊기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지역을 연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타라 프로젝트는 레이저빔을 이용, 강으로 가로막힌 4.8km 거리의 두 도시에 20Gbps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했다. (사진=X)
사실 타라 팀은 이미 몇 년 전부터 케냐는 물론 인도에 레이저빔 링크를 설치해 가능성을 테스트해 왔다. 마침내 16일 무선 레이저 광 링크로 콩고강을 사이에 둔 브라자빌 시와 킨샤사 시를 20Gbps 인터넷 서비스 통신으로 연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힐 수 있게 됐다.
X의 타라 연구팀이 콩고강 지역을 시험 대상지로 선정한 가장 큰 이유는 깊고 빠르게 흐르는 강으로 인해 생기는 장애물이 있다는 점이었다.
두 도시 간 거리는 4.8km에 불과하지만 인터넷용 광섬유케이블을 가설하려면 콩고 강을 400km 이상 우회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현재 브라자빌-킨샤사의 인터넷 연결 비용은 일반 도시에 비해 5배나 비싸다.
▲수신기에는 전송기의 빛을 감지하고 통신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거울을 자동 조정하는 센서(오른쪽)가 있다. (사진=X)
배리스 어크멘 타라 프로젝트 책임자(엔지니어링 이사)는 “FSOC를 설치한 후 20일 만에 99.9%의 가용성으로 거의 700테라바이트(700TB, 1TB=1조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했다. 현지 통신 파트너인 에코넷(Econet)과 그 자회사가 사용하는 광섬유 연결을 증강시켰다”고 16일 자신이 쓴 블로그에서 밝혔다.
타라 팀은 “이 지역에 이미 인터넷이 개통돼 있어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지 않고 기존의 광케이블과 이 레이저 시스템 간 성능 비교 및 데이터 전송 전환까지 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최종 사용자들이 언제 그들의 통신이 광섬유 케이블 대신 FSOC로 바뀌어 사용했는지 몰랐으며 최종적으로 이것이 구별되지 않는 경험 제공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어크멘 이사는 “타라의 링크가 제공한 700TB의 데이터는 FIFA 월드컵 경기를 HD TV 화질로 27만 번의 시청한 것과 맞먹는 수치다···우리는 미래에 모든 종류의 날씨와 조건에서 완벽한 신뢰성을 기대하지는 않지만, 타라의 링크는 유사한 성능을 계속 제공할 것이며 격오지에 살고 있는 1700만 명의 사람들에게 더 빠르고 저렴한 연결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타라 통신 연결성의 비밀은 미러, 매핑, 그리고 보이지 않는 악수
오랫동안 무선 광통신(WOC)은 안개나 연무 또는 광신호 앞으로 날아가는 새 같은 방해물로 인한 신호 신뢰성 저하 때문에 실행 가능한 옵션으로 고려되지 않아 왔다.
X는 공식 블로그에서 지난 몇 년 간 세 가지 방법으로 이러한 과제를 극복해 왔다고 밝히고 있다.
▲X는 룬 프로젝트에 사용된 레이저 기술을 타라 프로젝트에 적용해 아프리카 콩고에서의 시범 프로젝트를 성공시켰다. (사진=X)
▲타라 프로젝트 팀은 광섬유케이블에서 소외된 전세계 1700만 명의 격오지 사람들이 이 레이저빔 방식 광대역 인터넷 통신망 서비스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레이저빔 통신 서비스 컨셉. (사진=X)
첫째는 목표물 정밀 빔 조준(포인팅) 및 추적 능력이다.
타라 팀은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젓가락 폭에 불과한 레이저빔을 10km 떨어진 곳에서 폭 5cm의 목표물에 정확히 맞출 수 있을 정도의 강한 신호와 정확도로 연결했다. 지난 몇 년 동안 타라 프로젝트팀은 수신기가 송신기에서 나오는 빛을 감지해 잠글 수 있도록 했고 빔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거울을 자동으로 조정토록 설계했다. 이를 위해 대기 감지, 미러 제어 및 동작 감지 기능을 개선했다. 타라 프로젝트 팀은 이 시스템이 +/-5도 원뿔 범위 안에서 스스로 조정되며, 어떤 이유로든 고장이 날 경우 기술자를 내보내기 전에 원격 제어로 연결부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고 말한다.
둘째는 환경 속 변화(기후 동물 및 다른 장애물 등)에 대한 기기 원상 회복력이다.
물리적인 세계에서의 험난한 기술 운영 현실은 외부 환경 변화에 자동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인 방법을 찾도록 만들었다. 실제로 타라 팀은 인도에 타라 프로젝트 링크 송수신 단말기를 설치했을 때 원숭이들이 이를 밀치는 경우와 같은 상황을 겪기도 했다. 또한 전송되는 레이저 전력의 양이나 비트를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자동 조정케 함으로써 링크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러한 기술들이 더 나은 레이저빔 조준 및 추적 기능과 결합됐다. 타라 팀에 따르면 레이저빔이 안개, 가랑비, 또는 새(또는 호기심 많은 원숭이)의 영향을 받았을 때 서비스 중단이 되는 상황은 볼 수 없었다.
셋째는 네트워크 계획 도구를 개발해 타라 통신 링크를 적용하는 점이다.
▲타라 프로젝트가 적성한 전세계 무선 광대역 통신(WOC)의 가용성 비율을 보여주는 지도. (사진=X)
타라의 레이저빔 링크 구축을 위한 이상적인 날씨 조건을 갖춘 많은 장소들이 세계 곳곳에 있다. 날씨와 같은 요소를 기반으로 WOC 가용성을 추정하는 네트워크 계획 도구를 개발해 타라 링크를 최적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게 했다. 아래 지도는 전체적으로 WOC 성능에 대한 가시성 조건을 보여준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연간 99% 이상의 가용성을 기대할 수 있는 유망한 지역을 나타낸다.
타라 프로젝트 팀은 이같은 추적 정확도 향상, 자동화된 환경 대응 및 계획 도구 개선으로 타라 링크가 광섬유케이블을 가설하기 힘든 장소에 안정적인 고속 대역폭을 제공하고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는 지역을 연결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번 시범 사업 성공으로 ‘X’는 원격 지역을 연결하고 인터넷에 보다 안정적이고, 이상적으로, 보다 저렴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툴이 적어도 하나 더 있음을 증명했다.
X의 새로운 문샷 프로젝트인 ‘타라 프로젝트’의 성과를 기대해 본다. 스타링크와의 선의의 경쟁과 함께.
구글, 풍선 띄워 인터넷 보급하는 ‘프로젝트 룬’ 중단
1하늘의 별이 된 현은경 간호사
‘지금까지 후배들을 위해 무엇을 했지?’, ‘앞으로 뭘 해야 하지?’ 되뇌이며 지난 3일간을 돌아본다. 지난주 금요일 따르릉 전화벨이 울리면서 이천 혈액투석전문 열린의원에서 화재사고가 나 환자와 간호사가 사망했다는 말을 듣는 순간 아무 말도 나오지 않았고 머릿 속이 하얘졌다. 일단 현장에 빨리 가봐야 겠다고 생각해 여기저기 수소문하면서 정신없이 이천으로 달려갔다. 경찰들이 수신호로 차를 다른 곳으로 돌리고 있어 차를 먼 곳에 대고 떨리는 마음으로 현장에 가보니 화재현장 길 건너편에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워하고 있었다. 나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 프로젝트 룬 문제점
다음은 Bing에서 프로젝트 룬 문제점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인터넷 식민지가 시작되다!! 구글 프로젝트 룬!
- 프로젝트 룬
- 구글
- 유튜브
- 페이스북
- 위성함대
- 무료와이파이
- 인도네시아
- 광고
- 구글 X
- 테슬라
- 스페이스X
- 엘론 머스크
- 화성
- 인터넷
- 무료 인터넷
- 레이저
- 블록체인
- 양자컴퓨터
- 빅데이터
- 비트코인
- 가상화폐
- 인공위성
- 벌룬
- 풍선
- 룬
- 무료WIFI
- WIFI
- 에릭 슈미트
- 세르게이 브린
- 자율주행
- 구글 글래스
- 페이팔
- 이베이
- 인공지능
- AI
- 아마존
인터넷 #식민지가 #시작되다!! #구글 #프로젝트 #룬!
YouTube에서 프로젝트 룬 문제점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인터넷 식민지가 시작되다!! 구글 프로젝트 룬! | 프로젝트 룬 문제점,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